시니어 인지반응 융합콘텐츠 기술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Seniors’ Cognitive Response Content Technology
본 연구는 시니어 세대를 위한 맞춤형 문화향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니어의 감각 및 인지반응과사용자 행태 분석 기반의 융합 콘텐츠 문화기술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신실버세대의 문화향유를 위한 콘텐츠 문화기술로 연구의범위를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기술 개발 현황을 분석하여, 시니어 세대가 이용하기에 적합한 융합 콘텐츠 기술 4가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및 해외의 관련기술 현황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고, 전문가 표적집단면접법(FGI)을 통하여 기술적 제안을 진행하였다. 첫째, 시니어 세대의 인지반응 데이터(기억력, 집중력, 판단력, 신체능력 증진 등 신체, 감성 특성)를기반으로 한 측정 및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평가 기술을 제안하였다. 둘째, 시니어 인지반응에 대한 프로파일 패턴 비교 분석 기술을 제안하였다. 셋째, 시니어인지반응에 대한 UX/UI 기술을 제안하였다. 넷째, 시니어 큐레이션 서비스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제안을 통하여 기술 방향성을 수립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성과 활용 방안은 시니어 세대를 위한 신체·심리·인지반응 맞춤형 융합 콘텐츠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UI/UX 차원의 디자인 대응기술 개발에 맞는 현장적용 기술개발과 이를 통한 실용화․제품화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nverged service for personalized cultural enjoyment for the benefit of senior citizens, and to propose a direction for converged content culture technology based on the analyses of seniors’ sensory and cognitive responses and user behavior.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ontent culture technology lending itself to the cultural enjoyment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development of culture technology and proposes four items of converged content technology fit for use by the senior generation by identifying relevant technological trends in Korea and abroad before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experts. First, based on the technological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eniors’ cognitive response data (i.e. physical and emotional traits including memory, concentration, judgment and fitness improvement), a rating technology is proposed. Then, based on the proposed rating technology, a technology for comparative analysis of seniors’ cognitive response profile patterns is proposed. In addition, based on the UX/UI technology pertaining to seniors’ cognitive responses, a curation industry and a content service technology are proposed. The proposed technologies are conducive to setting up the relevant direction. The present findings underscore the following viability. Above all, on the grounds that the need for personalized converged contents involv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responses grows in the senior generation, and that responsive design technology is urgently required not only at hardware and software UI/UX levels, the proposed technologies are worth considering for the development of senior-oriented practical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약어 : KSAF / 2017, vol.30, pp. 57-69 (13 pages) / DOI : 10.17548/ksaf.2017.09.30.57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연구분야 : 복합학 > 학제간연구
남현우 /Nam Hyun Woo 1 / 1서경대학교